안녕하세요.
robo3t 기준으로 안내 드립니다.
말씀해주신것처럼 /etc/mongod.conf에서 bindIp 수정 (127.0.0.1 => 0.0.0.0) 및 DB 실행
상단메뉴 [컨테이너] - [SSH 설정]에서 IP와 포트, 비밀번호를 확인합니다.
Connection 설정에서 Address는 localhost와 27017 그대로 둡니다.
SSH 설정에 위에서 확인한 사항들을 입력해 줍니다.
Test를 눌러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는지 확인한 모습
service cron start 명령으로 cron 자체에 대한 실행도 해주셔야 동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컨테이너가 켜질때마다 실행해줘야 하는 명령이므로, 자동실행 스크립트로 설정해두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자동실행 스크립트 설정은 대시보드에서 컨테이너 설정 페이지로 이동하시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파일이 바로바로 저장 되도록 하고 싶다면.
터미널 명령보다는 글을 바로 저장 하는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거 같습니다.
스크린샷 2021-07-08 오전 10.10.44
왼쪽 하단의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클릭 후 자동저장 버튼을 통해 파일 자동 저장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문의주신 내용만 봤을 때는 서버가 정상적으로 항상 켜두기 돼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nohup 사용 안하고 python application.py 5000 으로 실행하셨을 때는 정상 접속이 되시는 상황인가요?
아니면, 만일의 경우이지만
$nohup python application.py 5000 & 명령이 입력하신 전체 명령이시라면, 맨 앞에 $를 떼고
nohup python application.py 5000 & 와 같이 입력 해보시기 바랍니다.